[보고서] 한국의 사망률과 지역 특성 간 연관성에 대한 공간적 변이 탐색과 함의
페이지 정보
작성자 운영자 댓글 0건 조회 181회 작성일 25-06-23 22:53본문
한국의 사망률과 지역 특성 간 연관성에 대한 공간적 변이 탐색과 함의
저자 : 장인수
출처 : 통계연구(2025) 제30권 제1호
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지역 사망력과 지역 특성 간 연관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. 이를 위하여 공간적 상호의존성을 기본적으로 고려하고, 추가로 지역별 연관성이 상이함을 고려하는 계량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의 정교함을 보다 제고하고자 하였다. 단위 인구 당 사망률과 지역 간 연령 구조의 차이를 배제하는 연령표준화사망률을 각각 종속변인으로 고려하였을 경우 독립변인별 추정계수는 일부 변인을 제외하고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. 대체로, 1인가구비율, 고령인구비율, 남녀성비와 같은 지역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사망률 및 연령표준화사망률과 정적(+) 연관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으며, 단위 인구 당 의료기관 종사 의사 수와 1인당 보건분야 예산은 지역의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도출되었다. 또한 다중범위지리가중회귀모형 적용 결과, 이러한 연관성은 지역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.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역의 사망률과 지역 특성 간 연관성이 지역별로 상이하며, 그 상이함은 영향의 정도 및 방향에서도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.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역 측면에서의 사망률 및 건강 불평등과 관련된 중앙정부의 정책 대응이 보다 유연하고 세부적인 방향을 견지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.
#조사망률 #연령표준화사망률 #정책수요 #건강수준 #공간계량모형 #다중범위지리가중회귀모형 #사망력 #지역특성
첨부파일
- 1.한국의사망률과지역특성간연관성에대한공간적변이탐색과함의.pdf (10.0M) 0회 다운로드 | DATE : 2025-06-23 22:53:12
관련링크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