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으로 바로가기

연구보고서

보고서명

E.S.G. 법제 기초연구(V)- 자본시장 개인투자자의 E.S.G. 인식조사 및 시사점 -

보고서명(영문)

E.S.G. Legislative Basic Study(V): Survey on E.S.G. Investments by individual investors and its Implications

  • Ⅰ. 배경 및 목적
    ▶ 최근 기업계, 자본시장, 학계 등에서 E.S.G. 담론의 확산 및 투자자들의 관심도 제고
    ○ 2000년대 중반 UN Global Compact 보고서에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E.S.G. 담론이 등장한 이래, E.S.G. 담론이 빠르게 확산됨
    ○ E.S.G. 투자, E.S.G. 경영, 책임투자, 지속가능투자, E.S.G. 공시 등 자본시장에서도 E.S.G. 제도화 논의가 다양하게 제기되는 만큼, 투자자들의 E.S.G.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짐
    - 특히 개인투자자들의 E.S.G. 요소에 대한 관심이나 E.S.G. 투자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을 것이나, 이들의 인식은 자산규모, 투자목적, E.S.G.에 대한 관심도 등은 다양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됨
    ▶ 개인투자자들의 E.S.G.에 대한 관심과 E.S.G. 투자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정량조사 및 분석 필요성
    ○ 한국의 자본시장에서 활동하는 개인투자자들을 대상으로 E.S.G.에 대한 관심과 E.S.G. 투자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
    - 개인투자자들의 E.S.G.에 대한 인지도와 E.S.G. 투자에 대한 관심 및 투자 우선순위, E.S.G. 투자 관련 정보 수집 및 공시기업의 지속가능성 등에 대한 기대 분석
    - 본 설문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개인투자자들의 E.S.G. 투자에 대한 인식과 관심도를 분석함으로써, 글로벌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성향과 비교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E.S.G.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함

    Ⅱ. 주요 내용
    ▶ 조사의 설계: 국내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 1,000명의 E.S.G. 투자에 대한 인식 및 관심도 분석
    ○ 최근 해외에서 실시한 개인투자자 관련 E.S.G. 설문조사의 사례를 참고하여, 국내 개인투자자의 기준을 2천만 원의 투자금액으로 설정
    ○ 지역, 성별, 연령대, 교육 및 소득수준, 투자규모 등을 기준으로 다양한 개인투자자들의 응답을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함
    ▶ 주요 조사 결과 분석
    ○ 투자기간 및 관심도
    - 평균 6년 6개월간 투자를 유지하며, 주로 장기투자(48.4%)를 선호
    - 응답자의 55%가 E.S.G. 투자에 관심이 있다고 답변
    * 연소득이 높고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E.S.G.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음
    ○ E.S.G. 투자 정보 및 투자자 인식
    - 응답자의 77.1%가 '지속가능성'이라는 용어를 알고 있었으며, E.S.G.(48.5%) 및 공정무역(63.8%) 등 사회적 책임 관련 용어에 대한 인지도가 상당히 높음
    - E.S.G.가 더 이상 새로운 개념이 아니며, 많은 투자자들이 이를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
    ○ 투자 성과 외 E.S.G. 요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
    - 응답자의 68.7%는 투자 시 수익률 외에도 기업의 E.S.G. 활동, 지속가능성, 투명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
    - 응답자의 44.9%는 소비자로서 E.S.G. 활동을 고려해 기업 상품을 구매한다고 답변함으로써 향후 기업의 E.S.G. 경영이 투자의 주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
    ○ 사회적 문제 해결에 대한 기업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투자자의 인식
    - 기업이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사회적 문제로는 '기후변화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탄소중립'이 63.8%로 가장 높게 나타남
    - 부패 방지 및 법령 준수, 산업 안전 확보 등이 높은 응답률을 보임
    ○ E.S.G. 투자에 대한 관심 변화
    - 응답자의 31.2%가 최근 2년 동안 E.S.G. 투자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증가했다고 응답
    - 특히 교육 수준이 높고 소득이 높은 계층일수록 E.S.G. 투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으며, E.S.G. 투자가 단기적인 트렌드를 넘어서 장기적인 투자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시사

    Ⅲ. 기대효과
    ▶ 개인투자자들의 E.S.G.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, 지속가능한 E.S.G.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기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
    ○ E.S.G. 투자 활성화를 위한 공시체계 설계 및 개인투자자들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E.S.G. 관련 금융상품 개발 및 전문가 육성, 교육 등 자본시장 내에서의 지속가능한 투자환경 조성에 기여

콘텐츠 큐레이션 : 동일주제 가장 많이 이용된 자료 추천

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연구보고서에 대하여 평가해 주세요

의견(0)

연구성과에 따른 의견과 무관한 글, 선정적인 글 및 비방글 등의 게시물은 관리자에 의해 언제든 삭제 조치 될 수 있으며, 주민등록번호 형식 및 연속된 숫자 13자리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.

입력 가능 Byte : 4000 Byte 현재 입력 Byte : 0 Byte
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.